프론트엔드를 중심으로 웹 개발을 하는 신입개발자 송장근 입니다.
Education: 세종대학교 천문우주학과 (주전공), 컴퓨터공학과 (복수전공)
2014.02 ~ 2020.02 (졸업예정)
프론트엔드 부분을 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. 기본적인 서버와 API를 개발하여 프론트엔드에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,
최근에는 사용자 화면의 테스트를 추가하여 실행이전에 적합성을 구성하는 일을 배우고 있습니다.
이런 분들에게 저를 추천합니다.
1.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모두 이해하고 있는 개발자를 찾고 있으신 분
2. 리액트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개발자를 찾고 있으신 분
3. AWS를 통해 실제 서비스를 직접 배포한 경험을 가진 사람을 찾고 있으신 분
4. 서버API를 구축하고 클라이언트에 접목시켜본 경험을 가진 사람을 찾고 있는 분
웹 표준을 준수하는 HTML을 이해하고 있습니다.
웹의 가장 기본적인 디자인을 책임지는 CSS를 표준에 맞춰 제작할 수 있습니다.
기초적인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활동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.
자바스크립트의 기능을 준수하면서 대형 프로젝트에 친화적인 타입스크립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코드를 재사용하고 모듈화 하여 분리해 관리 가능한 React.j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CSS에 프로그래밍적 기능을 추가한 preprocessor인 sas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프론트엔드의 데이터를 받아오는 여러 일들을 GraphQL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.
모든 웹의 서버 기반인 Node.js를 사용하여 코딩할 수 있습니다.
Node.js의 웹 서버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Express.j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때 내부에서 처리하는 여러 로직을 GraphQL을 통해 제작할 수 있습니다.
NoSQL문을 사용하는 MongoDB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제작한 서버를 실제 사용자에게 호스팅 하기 위해 AWS를 사용하여 서버컴퓨터를 생성하고 도메인을 연결하여 서비스 할 수 있습니다.
주요 사용 기술:
Frontend: React.js, Next.js, Sass
Backend: Node.js, MongoDB, GraphQL
Deployment: AWS EC2, S3, Route53
Client: React.js를 사용하여 UI를 제작한 후 이를 GraphQL로 데이터 이동하도록 처리하였습니다.
Server: 클라이언트 부분에서 요청하는 사항을 Apollo를 통해 처리하고 이를 전달하도속 제작하였습니다.
DB: 서버에서 요청하는 것을 데이터 처리하도록 MongoDB를 사용하여 처리하였습니다.
DEVops: 실제 웹 호스팅을 위해 AWS의 EC2를 활용하였습니다. 또 정적 파일을 보내기 위해 S3를 사용하였습니다.
프로젝트 접속하기
프로젝트 세부내용 링크
email: eta1@naver.com